지난 6~7일 북한과 미국 간 고위급 회담에서 미국 측이 요구한 것을 북한이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강도적 사고방식”이라고 비난한 것과 관련,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8일 “우리 요구가 깡패면 전 세계가 깡패”라고 반박했다.
북한이 담화문 영문판에서 “강도적”이라는 표현을 ‘깡패 같은(gangster-like)’이라고 표현했고, 이에 기자가 이를 인용해 질문하자 폼페이오 장관도 “깡패”라는 표현을 쓴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강경화 외교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왜냐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무엇을 성취할 필요가 있는지 만장일치로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7월 중순 판문점에서 만나서 미군 유해 반환에 대해서 논의할 것을 북한과 합의했고 북한은 이미 약속한 미사일 엔진 시험장 파괴에 대해서도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는 세계를 안전하게 할 것이고 이를 위해 계속 논의할 것이다. 우리 앞의 미래는 도전과 어려움이 있을 것이지만, 비판가들은 이를(우리의 진전이나 성과를) 축소하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핵화 시간표를 묻는 질문에 “김정은 위원장은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고 이를 시행할 것으로 본다”며 “아직 할 일이 많다. 북한은 미사일 엔진 파기를 약속했다. 빠른 시일 내에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틀 간의 방북 일정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면담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원래부터 김 위원장을 만날 계획은 없었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북미가 이번 협상에서 비핵화 검증 등 핵심 사안을 논의할 실무그룹을 구성하기로 한 만큼, 북한의 반발 속에도 후속 협상을 통해 비핵화 난제를 풀어가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강경화 외교장관은 “한미 연합 군사훈련 중지는 북한이 신속히 비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이것으로 한미 군사동맹이 변한 것은 아니며, 한미일 3국이 앞으로도 단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한미 동맹은 공고하며 강하다”며 “동맹 관계를 강하게 유지해 나갈 것이며 양국은 앞으로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영구적인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