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23일 160억달러(약 18조원) 규모의 상대국 수입품에 각각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해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이는 양국이 지난달 6일 340억달러(약 38조원)어치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데 이은 것으로, 이로써 양국이 무역전쟁으로 고율 관세를 물린 상대국 제품 규모만 총 500억 달러에 이르게 됐다.
특히 이번 관세부과는 22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워싱턴에서 미국과 중국의 차관급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단행된 것이어서 협상 전망에도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미국 정부가 예고대로 23일(현지시간) 0시부터 16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자 중국 정부도 즉각 반격에 나섰다.
신화통신은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의 공고에 따라 중국 정부가 이날 낮 12시 01분(현지시간)부터 16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추가 관세부과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도 미국의 관세부과 소식이 전해진 직후 담화에서 “중국은 이에 결연히 반대하며 부득이 계속해서 필요한 반격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미국이 남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고 자기 고집대로 23일부터 중국 수입품 160억달러 어치에 25%의 관세를 매겼고 이는 명백히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중국은 자유무역과 다자주의 체제를 수호함과 동시에 스스로 합법적인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WTO 분쟁 조정 기구에 이번 관세부과 문제를 제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미중 양국이 보복관세로 맞불을 놓은 가운데 워싱턴에서는 무역 실무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6월엔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과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가 만났으나 협상에 큰 성과를 내지 못했으며 이번에는 왕서우원(王受文) 중국 상무부 부부장과 데이비드 멀패스 미국 재무부 차관이 협상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