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이세원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지난달 일자리 증가폭이 다시 둔화하며 작년 연간 일자리 증가 규모가 1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취업자는 2천66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2천682만2천명으로 전년보다 9만7천명 증가했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8만7천명이 감소한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다. 전년인 2017년 증가폭은 31만6천명이었다.
지난해 초 출발은 순조로웠다. 1월 취업자 증가 폭은 33만4천명에 달했다. 그러나 곧바로 부진한 흐름이 나타나 2∼4월 10만명대로 떨어진 후 5월에 7만2천명까지 하락했다.
6월에 10만6천명대로 올라섰으나 7월 5천명, 8월 3천명으로 추락했다. 이후 9월 4만5천명, 10월 6만4천명에 이어 11월엔 16만5천명으로 반등했으나 12월 다시 10만명을 밑돌았다.
작년 실업자는 107만3천명으로 2016년 이래 3년째 100만명을 웃돌았다. 특히 1999년 6월 통계 기준을 바꾼 이래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후로는 가장 많다.
작년 실업률은 3.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다. 2001년(4.0%) 이래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지난해 9.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20대 후반(25∼29세) 실업률은 8.8%로 0.7%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청년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지난해 22.8%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실업자가 2000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을 두고 “고용 상황 부진 영향도 있지만 그동안 인구증가에 따라 비례해서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작년 연간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과 농림어업, 정보통신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등에서 늘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했다.
특히 비교적 질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에서는 취업자가 전년보다 5만6천명 감소했다.
작년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4만5천명 증가했으나, 임시근로자는 14만1천명, 일용근로자는 5만4천명 각각 줄었다.
비임금 근로자는 전년보다 5만2천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만3천명 증가했으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7천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제조업 등 경기 부진으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풀이했다.
작년 연간 고용률은 60.7%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내렸다. 연간 고용률이 하락한 것은 2009년(-0.1%포인트) 이후 처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작년 고용률은 66.6%로 전년과 변동이 없었다.
작년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8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4천명 증가했다.
사유를 보면 육아와 재학·수강 등에서는 감소했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했다. 취업준비자는 69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2만4천명 증가했다.
작년 구직단념자는 52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3천명 증가했다.
빈현준 과장은 “취업자 증가 폭 축소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인구증가 폭 축소, 자동차 등 제조업 부진, 서비스업 구조조정 등이 한꺼번에 겹친 영향”이라며 “다만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청년층에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이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인구증가세 둔화와 관련해 “지난해 인구증가 규모는 22만5천여명으로 전년보다 약 7만3천명 정도 적은 수준”이라며 “고용률을 60% 수준으로 적용한다면 지난해 인구 증가세 둔화로 인해 취업자수가 전년보다 4만명 정도 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작년 12월 15∼64세 고용률은 6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으나 15∼29세 고용률은 42.7%로 1.0%포인트 상승했다. 실업률은 3.4%로 0.1%포인트 상승했다.
2vs2@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