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에서 한달 내 취업 가능한 일자리 급감…실업자 취업기회 더 축소
실업자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빈 일자리도 대폭 줄어들면서 이들의 취업 기회가 급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10일 국가통계포털에 공개된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종사자 1인 이상 국내 사업체의 빈 일자리는 올해 1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16만6천700개로 1년 전보다 3만9천717개 감소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사업체 빈 일자리 감소 폭은 2011년 9월(6만850개) 이후 88개월 만에 가장 컸다.
빈 일자리는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12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보다 감소했다.
그 결과 매해 1월 기준으로 빈 일자리는 2012년(14만850명) 이후 7년 만에 최소로 축소했다.
빈 일자리는 조사일 현재 구인(求人) 중이고 한 달 이내 일이 시작될 수 있는 경우다.
노동시장이 실업자를 취업자로 수용할 수 있는 여력이 얼마나 있는지 가늠하는 지표로도 여겨진다.
다만 빈 일자리 수는 취업 가능한 일자리보다는 적게 나타난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노점상이나 대리운전기사처럼 고정사업장이 없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근로자 등 사업체 노동력조사에서 제외되는 이들이 있고, 빈 일자리로 정의하는 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빈 일자리 감소 흐름이나 실업자 증가세에 비춰보면 최근 악화한 고용 상황이 개선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경제활동 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월 실업자는 122만4천명으로 1년전보다 20만4천명 많았다. 2000년(123만2천명)에 이어 최다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실업자 증가 폭은 2014년 4월 20만7천명을 기록한 후 57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빈 일자리 감소에 관해 “사업체가 구인하는 자리가 줄어드는 것인데 기업이 도산·파산해서 일자리 자체가 없어지는 경우나 사업체는 존속하지만 구인을 안 하는 경우 등이 있다”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노동력) 수요 자체가 줄어드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빈 일자리 수 변화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좋은 직장’으로 꼽히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올해 1월 국내 제조업 사업체의 빈 일자리 수는 3만5천114개로 1년 전보다 1만2천761개 적었다.
2011년 9월(-2만6천667개) 이후 최근 88개월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1월 기준 제조업 사업체 빈 일자리 수는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작성된 2010년 이후 올해가 가장 적었다.
제조업 사업체의 빈 일자리 감소는 작년 2월부터 12개월 연속 이어졌다.
제조업은 취업자도 급격히 감소하는 등 고용 전반이 위축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활동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1월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17만명 줄어들어 2013년 통계 작성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도매 및 소매업의 빈 일자리도 대폭 감소했다.
올해 1월 도매 및 소매업의 빈 일자리는 2만2천82개로 1년 전보다 1만1천660개 줄었다. 1월 기준으로는 7년 만에 가장 적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