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58종류의 쓰레기를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는 최첨단 AI로봇이 등장했다.
일회용품 사용량이 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도 크게 늘었는데, 똑똑한 AI로봇이 현장에서 큰 역할을 해내고 있다.
최근 SBS 뉴스 보도에 따르면, 서울 도봉구의 재활용 선별장에는 ‘닥터 비’라는 이름의 분리수거 로봇이 설치됐다.

갖가지 폐기물 중에서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류만 쏙쏙 골라낸다.
딥 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제대로 분리수거 되지 않은 폐기물들을 집어낼 수 있다.
로봇 개발업체에 따르면 ‘닥터 비’는 1초에 10장씩 사진을 찍어 자신의 데이터로 축적한다. 이 사진들을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며 쓰레기를 식별하고 골라내는 원리다.


해당 업체의 김현수 대표는 “재질별, 용도별, 형태별로 58종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했다. 폐기물이 너무 작거나, 양이 너무 많으면 사람은 하지 못하는데 로봇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김현수 대표는 YTN과의 인터뷰에서 분리수거 로봇을 개발하게 된 계기를 밝힌 바 있다.
그는 “플라스틱을 전 세계에 판매했었다. 그중에서도 페트병의 원료를 주로 생산, 판매했다”라며 “튀니지에는 1년에 3만 톤이나 팔았다. 그 시장의 60% 정도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튀니지는 지중해가 인접한 아주 아름다운 나라인데, 어느 날 그 바다가 페트병으로 가득 찬 모습을 보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 페트병을 누군가는 회수해야 할 것 같아서…”라며 분리수거 로봇의 개발을 결심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