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력의 대규모 적자를 해소하려면 가구당 전기요금을 8만 원 이상 올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한전의 4분기 예상 적자는 35조 4,000억 원이다.

이 적자를 해소하려면 내달 kWh(킬로와트시)당 261원 수준의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통상 월평균 전력사용량(307kWh)을 사용하는 4인 가구 기준으로 8만 원 이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그동안 전기요금을 10만원 낸 가정이라면 남은 10, 11, 12월에는 18만원의 전기요금을 내야 한전이 올해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다는 이야기다.

통상 전기요금은 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준연료비)·기후환경요금·연료비 조정요금 등으로 구성된다.
한전이 산정한 대로 손익분기점을 맞추려면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당 50원 올려야 한지만, 현재 조정폭은 ±5원으로 제한돼 있다.
이에 제도를 고치는 방안과 정부 부처 간에 인상 폭을 놓고 협의가 진행 중이다.

물가를 잡기 위해 고심 중인 정부로는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지난달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미 전체 평균(5.7%)의 3배 이상 뛰었기 때문이다.
한전도 당초 이날 발표하려 했었던 10월 전기요금 인상 발표를 잠정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