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1천억 원대 적자를 기록한 한국철도공사 코레일의 회계 결과는 3천억 원 흑자였다.
감사원이 들여다봤더니 순이익을 실제보다 4천억 원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코레일은 20일 기재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최하 등급인 E(아주 미흡)를 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처럼 방만하게 운영돼온 공공기관에 대한 고강도 혁신을 예고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지금처럼 경제가 어려운 비상 상황에서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공기업이 방만하게 운영되고 있다”며 “호화로운 청사를 매각해 비용을 절감하고 고연봉 임원진은 스스로 받았던 대우를 반납하며 솔선수범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불필요한 자산 매각과 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렇게 절약한 돈은 특히 어려운 이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회의에서 “공공기관 파티는 끝났다”며 혁신 방향에 대해 발제하고 토론을 이끌었다.
추 부총리는 지난 5년 동안 공공기관 숫자가 늘고 규모가 커졌지만 부실이 급증했다는 점을 부연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추 부총리 발표 내용과 관련, “공공기관 수는 350개, 인력은 44만 명, 예산은 761조 원”이라며 “국가 예산의 1.3배 정도 되는 액수”라고 소개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기관이 29개, 인력이 11만6천 명 각각 증가하고, 부채가 84조 원 늘었다”라며 “그에 비해 생산성은 계속 하락하고, 수익으로 빌린 돈의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공기업이 2016년 5곳에서 작년 18곳으로 늘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