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적어도 5~10분 전에는 출근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시간에 딱 맞춰 출근하는 신입사원들이 거슬린다는 직장인의 하소연을 종종 접할 수 있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268394f9ded991d68d6ab8a4ecc866f7.png)
출근 시간이 9시라면 적어도 10분 전에는 나와서 준비해야 9시부터 일을 바로 시작할 수 있는 게 아니냐는 것.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정시에 딱 맞춰 퇴근하는 신입사원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들도 많다.
그 시간에 회사를 나서려면 그전부터 짐을 챙기는 등 일이 아니라 퇴근 준비를 한다는 게 이유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c80c5920f312c253d841a349e1c21d45.jpg)
정시출근과 정시퇴근을 칼같이 지키는 신입이 못마땅한 직장인은 ‘이런 내가 꼰대인가?’라는 고민에 빠지기도 한다.
이런 사연이 온라인상에 공유될 때마다 직장인의 의견은 분분하다.
일을 잘하려면 조금 여유롭게 출근하고 살짝 늦게 퇴근하는 게 맞다는 의견도 있지만, 시간에 딱 맞게 출퇴근하는 건 문제없다는 이들도 많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759083_336174_3552.jpg)
실제로는 어떨까?
지난 2019년 한 취업포탈에서 직장인 4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대부분이 출근 시간보다 10~30분 정도 일찍 출근했다.
응답자의 44%는 보통 10~20분, 28.1%는 30분 일찍 출근한다고 응답했다.
퇴근은 남은 업무가 없으면 40.1%가 정시에, 48% 5~30분 늦게 퇴근한다고 했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f92e1aa216f4a02d19a9ffdd0389d7b8.png)
만약, 직장상사가 출근 시간보다 일찍 회사에 나오라고 한다면 이는 부당한 지시에 해당할까?
최근 한 기업에서 업무 시작 전 10분 전까지 출근하지 않은 직원의 명단을 사내 메일로 공유해 논란이 일었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afafe9d148f8ca15fd638fb47ca62288.png)
결론부터 말하면, 근로자들은 근로계약서 또는 취업규칙에 명시된 근로 시작 시간보다 일찍 출근할 의무가 없다.
아무리 업무 준비를 위해서라지만 출근시간보다 일찍 출근하라고 강요하면 근로기준법 위반이 될 수 있다.
![](https://ntdtv.kr/assets/uploads/2022/11/c96b639643b662a9c6ef2cb4e61b8a2d.png)
회사가 10분 더 일찍 나오라고 지시한다면 10분에 해당하는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대법원 판례를 살펴봐도 출근 시간은 근무처에 도착하는 시간으로, 작업준비를 거쳐 일을 시작하는 시간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