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생률 저하 원인으로는 아이를 낳아 키우기 힘들다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특히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시기는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로 전환하는 시점 1순위다.
유치원에서는 오후 늦게까지 있을 수 있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오후 시간 보육 공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현 정부는 초등 전일제 교육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맞춤형 돌봄과 교육을 제공하는 ‘늘봄학교’를 도입하기로 했다.

9일 교육부는 ‘초등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눈에 띄는 것은 돌봄 프로그램을 아침, 오후, 저녁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했다는 점이다.
통상 방과 후부터 오후 다섯 시까지 운영되는 돌봄 교실을 3시간 더 연장하고 정규 수업 전인 오전 7시부터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아침돌봄’, 방과후학교 수업 사이에 ‘틈새돌봄’, 긴급하게 아이를 맡기는 ‘일시돌봄’도 생긴다.
오후 8시까지 운영하는 저녁돌봄을 이용하는 학생에게는 식사와 간식도 제공한다.

학교에서 돌봄 수요를 다 소화하지 못하면 거점형 돌봄기관을 구축해 학생들을 통학버스로 이동하게 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지난해에도 30만5218명 돌봄교실을 신청했지만 이 중 1만5106명은 탈락했다.
늘봄교실은 돌봄과 교육을 원하는 학생을 모두 수용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돌봄 대상도 저학년 위주에서 고학년까지 전 학년으로 확대해 고학년의 경우 인공지능, 코딩 등 신산업 분야 중심으로 방과후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일단 올해 3월부터 4개 시도 교육청 초등학교 200곳으로 시작해 2025년에는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향후 4년간 특별교부금 3402억원과 지방비 4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맞벌이 부모들은 반기지만 학교 현장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대도시는 우수 강사를 구하기가 쉽지만 농산어촌 지역은 그렇지 않다 보니 지역 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

또 안전관리와 민원처리 등을 교사가 맡게 되면 업무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시도지원센터와 단위학교에 늘봄학교 전담인력도 순차적으로 배치해 교사들의 행정업무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