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주민들에게서 단독주택은 물론 아파트 등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입구에 차수판을 설치해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서울 방배동 남태령 전원마을에는 주택과 상가 출입구 곳곳에는 50㎝ 높이의 차수판(물막이판)이 설치돼 있다.
해당 자치구인 서초구가 2011년 이 동네 전역에 지원해준 수방(水防) 시설이다.

마을 주민들은 이 차수판과 배수시설 정비 덕분에 지난 8~9일 서울 곳곳에서 발생한 물난리 속에서도 작은 피해만 입었다.
전원마을 사례가 퍼지면서 이번 폭우로 피해를 본 지역을 중심으로 차수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차수판을 설치해 침수를 막은 주택과 빌딩 사진이 SNS에서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주민들은 자치구에 단독주택은 물론 아파트 등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입구에 차수판을 설치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자치구들은 예산 문제를 이유로 대며 일일이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차수판은 빗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막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이다. 상가나 주택 입구 양쪽에 차수판을 넣을 수 있는 쇠기둥만 부착하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차수판 안쪽에는 고무패킹 처리가 돼 있다. 쇠기둥에 부착된 나사를 꽉 조여주기만 하면 물이 침투하지 않는다.
평소에는 다른 장소에 보관해뒀다가 집중호우나 태풍 등으로 인한 침수 피해가 우려될 때 설치하면 된다.

차수판 설치를 원하는 시민 중 상당수는 지방자치단체 지원 대신 민간 차수판 업체를 알아보고 있다. 민간 업체들은 반지하나 일반 상가 같은 경우 출장·시공비를 빼면 60만원대로 설치가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한 구청 관계자는 “차수판을 설치하는 데 가구당 100만원가량 예산이 쓰여 주민센터에서 일단 수요를 모아오면 담당 직원이 현장조사를 해 차수판 설치 결정을 내린다”고 말했다. 관련 예산이 다 떨어지면 설치 작업도 중단될 수밖에 없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호우 피해 속에서 서울 강남, 서초, 동작구 등 상습침수구역 관리가 소홀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체계적으로 차수판 관리를 해온 곳은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방재지구와 자연재해 취약지역 1만㎡가 넘는 건물만 차수판 설치 의무”라며 “방재지구는 서울에 없고, 자연재해 취약지역으로 지정된 곳도 몇 군데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