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에 처한 ‘귀여운 악마’ 태즈메이니아데블을 구하려고 인간이 개입했다가 한 섬에서 펭귄이 사라지는 일이 발생했다.
가디언은 지난 21일(현지 시간) 태즈메이니아 동남부의 마리아 섬에 서식하던 ‘요정펭귄(쇠푸른펭귄·꼬마펭귄)’ 3000마리가 종적을 감췄다고 전했다.
태즈메이니아데블이 마리아 섬으로 이주해 적응하면서 원래 섬에 거주하던 요정펭귄들의 씨를 말렸기 때문이다.
태즈메이니아데블은 호주 토착종으로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다. 울음소리가 기묘하고 동물 사체를 먹는 탓에 ‘악마’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태즈메이니아데블을 마리아 섬으로 보낸 것은 인간이었다.
1990년대 중반 태즈메이니아데블은 딩고(야생들개)의 출현과 치명적인 악성안면종양 감염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위기'(EN, Endangered)종에 이름을 올렸다.
호주 정부와 태즈메이니아 주정부는 멸종위기에 처한 이들을 구하기 위해 ‘세이브 더 태즈메이니아데블’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지의 동물원과 일부 서식지로 태즈메이니아데블을 이주시키는 사업을 진행했다.
그런데 2012년 태즈메이니아데블이 유입된 후로 꼬마펭귄의 개체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처음 28마리였던 마리아 섬의 태즈메이니아데블은 4년 만에 개체 수가 100마리까지 증가했다. 반면 꼬마펭귄 3000마리는 10년도 안 돼 자취를 감췄다.
꼬마펭귄은 성체의 키가 30~33㎝에 불과한 현존하는 펭귄 중 가장 크기가 작은 펭귄으로, 작은 체구 때문에 육식성 태즈메이니아데블에게 훌륭한 사냥감이 됐다.
환경단체 버드라이프 태즈메이니아의 연구원 에릭 뵐러는 BBC에 “국립공원이자 새들의 피난처 역할을 하는 섬에서 펭귄 3000마리를 잃은 것은 큰 타격”이라며 “인간들이 의도적으로 혹은 우연히 해양 섬에 포유동물을 들여올 때마다 항상 같은 결과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태즈메이니아 주정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부터 이 같은 결과를 예측했던 것으로 보인다.
2011년 태즈메이니아주 환경부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그들은 태즈메이니아데블이 마리아 섬에 도입되면 쇠푸른펭귄을 비롯한 조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예측했다.
하지만 주정부는 꼬마펭귄의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태즈메이니아데블 구하기를 우선하기로 했다.
태즈메이니아 주정부 대변인은 “과학과 우선순위를 고려해 프로그램을 조정하겠다”며 “마리아 섬은 테즈메이니아데블 개체 수를 복원하고 유지하는 데 여전히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