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800억원대 예산을 들여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 옛 청와대 영빈관 격의 신축 부속시설 건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를 국민에 개방하고, 용산으로 대통령실을 이전하면서 내 외빈을 맞이하던 영빈관을 쓰지 못하게 되자 사실상 새로운 영빈관을 짓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15일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유재산관리기금 2023년도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기재부는 대통령실 주요 부속시설 신축 사업에 878억6300만원의 사업비를 책정했다.
사업기간은 내년부터 2년 동안으로, 내년에만 497억 4천여 만원이 배정됐다.

지난 3월 윤석열 대통령은 직접,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모두 496억 원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올해 2분기(4∼6월) 정부예산 전용 내역에는 경찰 경호부대 이전 비용 등 307억8500만 원이 추가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영빈관 신축에만 800억 원이 넘는 예산이 추가로 투입되는 등, 이전 관련 예산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대통령실은 “부속시설 신설 필요성을 국회에 제안한 것으로, 예산안의 최종 결정권은 국회에 있다”며 예산안이 확정되면 관련 비용을 국민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대통령실 이전 비용은 집무실과 비서실 이사 비용인 만큼, 영빈관 신축 예산을 이전 비용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실 이전으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 만큼 영빈관 신축에 또 수백억원을 투입하는 것은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