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고소득’ 여성일수록 자녀 낳을 확률, 오히려 크다

By 김우성

여성의 교육 수준과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 출산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이 고학력일수록 자녀를 낳지 않으려 한다’는 사회의 통념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기혼부부 무자녀 선택과 정책’ 보고서를 6일 공개했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영화 ‘인턴’

연구팀은 부부가 자녀를 낳지 않기로 선택하는 데 어떤 사회·경제적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분석과 결혼 1~7년 차 신혼부부 1,77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 조사를 벌였다.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이 대학 졸업 이상 학력을 가진 여성에 비해 무(無)자녀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또 여성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를 낳지 않을 확률이 줄었다. 단, 여성의 근로 시간은 ‘무자녀’ 선택 여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970년대 이전에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무자녀 비중이 높았지만, 2000년대 이후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무자녀 비중이 작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상적으로는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자녀 출산에 따른 기회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자녀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봤는데,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영화 ‘인턴’

연구진은 “우리나라는 여성이 본인의 경력을 우선시해서 자녀를 낳지 않기보다는 양육비 부담 때문에 자녀를 낳지 않은 경향이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즉, 여성이 학력이 높고 소득이 늘어나면 이에 따라서 자녀 부양 능력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출산을 선택할 확률이 높다는 말이다.

또한, 부부의 자녀 계획에는 남편의 역할도 중요했다. 남편의 가사 시간이 증가할수록 출산 연기나 무자녀 선택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영화 ‘인턴’

여성의 초혼 연령도 ‘무자녀’에 영향을 줬다. 연구진이 신혼부부들을 대상으로 심층 조사한 결과, 아이를 낳고 싶어서 난임 시술 비용이나 신체적 문제 때문에 ‘비자발적’으로 무자녀 부부가 된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정부는 부부가 일하면서 양육비 걱정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적절한 보육 환경을 조성해주고, 난임 등의 문제 때문에 아이를 낳고 싶어서 낳지 못하는 부부들이 아무런 비용 부담 없이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