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빚 줄이기에 나섰다.
평창올림픽과 테마파크를 유치하면서 현재 빚이 1조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 도정은 지금 빚덩이에 눌려 있다”고 전했다.
강원도의 실질 채무는 올해 현재 8천193억원이다.
4년 전 평창 올림픽을 치를 때 빌린 수천억 원을 아직 갚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년 11월 레고랜드로부터 넘어올 2천50억원의 청구서까지 합하면 1조 243억원으로 늘어난다.
김 지사는 “(올림픽 등으로 인해) 빚을 줄이지 못하고 오히려 더 늘어난 측면이 있었다. 불꽃놀이 해서 몇억씩 날려 보낸다 이런 건 좀 참아도 되지 않을까”라고 밝혔다.

이에 강원도는 앞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는 방식으로 4년간 6천억을 갚을 예정이다.
우선 올해 예정한 1,600억 원 추경은 하지 않기로 했고, 지방채도 4년간 발행하지 않는다.
일회성이나 선심성 행사를 폐지해 매년 120억원을 빚 갚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전임 최문순 지사 때 공들였던 북한이나 평화 관련 행사가 대표적인 폐지 대상이다.
도유지인 폐천 부지 등도 모조리 팔아, 재원을 최대한 확보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미 예고된 강원도청 신축 등으로 들어갈 돈은 여전히 많고, 이번에 발생한 집중 호우 피해는 집계조차 끝나지 않았다.
그나마 기대하는 건 내년 6월 강원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정부 지원이 이뤄지길 희망하고 있다.
김 지사는 “전임 지사도 채무 제로화를 해보려고 했지만 2018 평창올림픽과 재난 지원금 등으로 빚을 줄이지 못한 것 같다”며 “낭비성 예산은 최대한 줄이고, 민생 예산은 과감히 투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