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에 스프를 뿌린 뒤, 뜨거운 물을 붓고 4분만 기다리면 뚝딱 완성되는 컵라면.
요즘 컵라면은 같은 제품이라도 용량이 다르게 생산돼 소비자들이 골라 먹을 수 있게 돼 있다.

컵라면 사이즈는 보통 60g 수준인 작은 컵과 110g 이상인 큰 컵으로 나뉜다.
대부분은 아무 생각 없이 먹지만 한 누리꾼은 컵라면 용기 사이즈에 의문을 제기했다.
최근 다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컵라면 작은 사이즈 용도는 뭔가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 씨는 “컵라면 작은 사이즈는 용도가 뭐냐”라며 “삼각김밥이랑 먹는 거라고 해도 양이 너무 적어서 화가 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 날씬하고 식사량도 많은 편이 아닌데 유독 컵라면은 배가 안 찬다”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오늘 옆자리에 엄청 마른 여직원이 컵라면 오리지널 사이즈 하나 먹고 배부르다고 하는 거 보고 깜짝 놀랐다”라며 “컵라면 저만 배가 안 차냐”라고 누리꾼들의 의견을 물었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간식용 아니면 별로 배 안 고플 때 먹는 거”, “메인 음식 보조개념’, “입가심이지”, “밤에 라면 먹고 싶을 때 맛만 보는 용도” 등의 의견을 내놓았다.
반면, “난 작은 사이즈 딱 좋던데. 큰 거 사면 맨날 남김”, “컵라면은 작은 사이즈가 훨씬 맛있음” 등의 의견도 있었다.
실제로 컵라면 큰 컵과 작은 컵의 맛은 엄연히 다르다.

작은 컵의 국물 염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소비자문제연구소인 컨슈머리서치가 농심, 삼양, 오뚜기, 팔도 등이 생산하는 컵라면 19개 제품을 조사했더니 무려 14개 제품에서 작은 컵의 10g당 나트륨 함량이 큰 컵보다 20% 이상 많았다.
제조사들은 컵라면 큰 컵과 작은 컵은 레시피가 다르기 때문에 이름만 같을 뿐, 사실상 같은 제품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용량도 다를뿐더러 맛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니 이젠 입맛에 맞게 골라 먹도록 하자.